엑셀 숫자 세기 간단한 방법
우리가 회사에서 일을 하다 보면 다양한 경우에 봉착을 합니다. 남들보다 일을 쉽게 마치고 일찍 끝내서 퇴근하고 싶은데요 엑셀을 얼마나 잘 활용할줄 아느냐에 따라 일을 빠르게 처리하고 그리고 완성도도 높아질수 있죠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중에 엑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위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어떤 데이터든 우리는 쉽게 정리가 가능한데요 많은 데이터를 일일히 세기에는 한계가 있죠 눈짐작도 힘들고요
그렇다고 갯수를 일일히 열거하기도 힘듭니다. 그래서 직접 엑셀 함수를 통해서 해당 셀의 갯수를 셀수 있는것이죠 얼마나 간단한지 모르겠어요 저도 처음에 엑셀을 사용할때 그냥 기본적인 기능만 사용을 했죠
더하기 뺴기 그리고 간단한 표그리기등 이런것은 기본적으로 가능하니까요 그런데 여기서 함수가 들어가면 너무 복잡해서 알면 활용하기 편할것 같은데 머리가 아프더라고요 복잡한게 아닌가 하고 공부하기도 전에 미리 포기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한번 엑셀 함수를 사용하니까 정말 신세계가 열리는것 같아요 그리고 사용방법도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면서도 오히려 업무 효율성은 높였으니까요 이제 앞으로 종종 엑셀 함수를 사용을 해서 좀더 업무를 빠르게 마치도록 해야할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제 엑셀 숫자 세기 함수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예를들어서 count 라는 함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 데이터중에서 숫자가 있는 셀의 갯수를 확인해주는 함수고요 여기서 countif 라는 함수는 숫자에 조건을 같이 포함을 해주는 수식인것이죠
다음과 같이 일단 먼저 엑셀을 실행을 해주세요 그리고 샘플로 임의로 데이터를 입력을 했습니다.
그러면 해당 데이터에서 숫자가 들어있는 셀은 몇개인지 갯수를 세는것이죠
위와같이 값이 들어갈 셀에 = 기호를 붙이고 fx 를 눌러서 함수마법사를 불러옵니다.
우리가 찾을 함수는 바로 count 이죠 이것을 검색을 해주고 함수선택을 해줍니다.
처음에 value1 은 내가 범위를 찾을 데이터를 블럭을 지정을 해줍니다. 위와같이 가부터 팔까지 해서 해당 데이터 블럭을 지정을 해주고요
value2 는 숫자를 찾는거니까요 이대로 해서 확인을 눌러주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숫자갯수가 2개로 나와있죠 물론 데이터가 얼마 없을때는 내가 눈으로 확인해도 되지만 데이터가 수십 수백개라고 하면 이렇게 count 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갯수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